비탈면 붕괴형태 및 비탈면 안정공법
1. 정의 및 개요 1) 비탈면은 자연적, 인공적 요인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표면을 말하며, 토사 및 암반이 중력에 의해 이동 또는 붕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2) 비탈면 붕괴는 사면 각도, 지반 재질, 강우, 지진, 지하수 등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랜드슬라이드’와 ‘랜드크리프’로 구분된다. 3) 붕괴 형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안정공법 선정과 피해 예방의 핵심이 된다.2. 랜드슬라이드(Landslide)1) 정의 - 비탈면의 토사나 암반이 활동면을 경계로 비교적 빠르게 대규모로 붕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강우, 지진, 절토작업 직후 등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다.2) 발생시기 - 집중호우, 지하수 상승, 지진 발생 직후, 절토 및 굴착공사 중 지반이 불..
2025. 4. 21.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4교시_상수도 기존관의 세척공사와 갱생공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정의 및 개요 1) 상수도 기존관은 장기간 사용 시 관내에 스케일, 침전물, 부식 생성물 등이 축적되어 수질오염, 유량 저하, 수압 불균형을 초래한다. 2)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 내부를 청소하는 세척공사와, 구조적 강도나 내구성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갱생공사를 시행한다. 3) 세척공사와 갱생공사는 상수도관 유지관리의 핵심공정으로, 노후화된 관망의 성능을 복구하고 수질 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을 가진다.2. 기존관 세척공사의 개념 및 목적 1) 세척공사는 상수도관 내부에 퇴적된 부식물, 슬라임, 스케일 등을 제거하여 관경을 회복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이다. 2) 주요 목적은 물의 탁도 감소, 잔류염소 유지, 수압 및 유량 회복을 통한 급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3. 세척공사의 ..
2025. 4. 17.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3교시_수중 콘크리트 타설시 유의사항
1. 정의 및 개요 1) 수중콘크리트 타설이란 물속이나 수면 아래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시공 방법으로, 주로 교량 기초, 항만구조물, 댐 기초, 케이슨 기초 등에 적용한다. 2) 일반 콘크리트와 달리 물과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재료분리, 세멘트 세척, 공극 발생 등 품질 저하 우려가 높아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3) 타설 방법과 장비, 시공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품질을 확보하고 시공성,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2. 수중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주요 문제점 1) 재료 분리 - 물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가 분리되어 콘크리트 품질 저하를 유발한다. 2) 시멘트 세척 - 물속에서 타설 시, 시멘트 페이스트가 씻겨 나가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강도, 내구성..
2025.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