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36회8

하이브리드 케이슨 1 개요 하이브리드 케이슨은 철근콘크리트(RC)와 강재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부재를 조합한 복합 구조물로서, 전통적인 중력식 케이슨의 자립성과 시공 안정성에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성 및 공기 단축 효과를 결합한 최신 해양·항만 구조물 공법이다.2 하이브리드 케이슨의 구성 및 시공 방식1) 구조 개요 (1) 하부 구조: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전통적 케이슨 구조로서, 자중에 의해 자립이 가능하며 기초 지반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 (2) 상부 구조: 강재 프레임, 콘크리트 패널, PC 부재 등으로 구성된 조립식 구조물로, 현장에서는 볼트 체결 또는 접합 공법으로 설치된다.2) 제작 및 설치 방식 (1) 공장 제작: 하부 RC 케이슨과 상부 조립 부재는 각각 별도.. 2025. 7. 2.
댐의 유수전환 1 개요 댐 건설 시 하천의 흐르는 물(유수)을 안전하게 전환하여 공사 구간의 건조 상태를 확보하는 유수전환은 댐 시공의 초기단계에서 가장 중요하며, 공사 전체의 안전성과 시공계획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수전환은 하천 유량, 지형 조건, 시공 방법 및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전환방식을 선정해야 한다.2 유수전환 방식1) 우회터널 방식 (1) 개요: 하천 유량이 많고 하폭이 협소하거나 지형적으로 천단변경이 어려운 경우, 본류 외측에 별도의 터널을 굴착하여 유수를 전환하는 방식이다. (2) 장점: 대유량 대응이 가능하며, 본류 시공부의 건조 상태 확보가 용이하다. (3) 단점: 터널 굴착에 따른 공사비 증가 및 지질 조건에 따라 시공 난이도가.. 2025. 7. 2.
후텐션 콘크리트 포장 PTCP(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 1. 정의1) 후텐션 콘크리트 포장(PTCP: 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이란, 콘크리트 포장판 내에 강선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이 강선에 인장력을 가하여 포장판에 압축응력을 도입함으로써 균열 방지, 슬래브 간 이격 방지, 그리고 지반 침하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일종이다.2) 일반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슬래브를 길게 연속 시공할 수 있으며, 팽창·수축으로 인한 균열 발생이 억제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2. 구조 및 원리1) PTCP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1) 프리스트레싱용 덕트 및 고강도 강선/강연선 (2) 슬래브 측면의 정착구(Anchorage) (3) 콘크리트 타설 후 강선에 인장력을 .. 2025. 6. 24.
군지수(GI : Group Index) 1. 정의1. 군지수(GI, Group Index)란 도로노상토의 품질을 수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로공학적 지표로서, AASHTO 분류법에 따라 세립분 함량(F), 액성한계(LL), 소성지수(PI)를 바탕으로 계산된다.2. 이 지수는 도로기층 또는 노상에서 흙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GI가 클수록 품질이 불량하여 보강 또는 대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2. 산정식1) 군지수는 다음과 같은 경험식으로 산정된다:GI=(F−35)×(0.2+0.005×(LL−40))+0.01×(F−15)×(PI−10)2) 단, 결과가 음수일 경우 0으로 간주하며, GI는 일반적으로 0 이상이다.3) 변수 설명:  (1) F : No.200 체 통과율(%)  (2) LL : 액성한계  (3) PI : 소성.. 2025. 6. 24.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줄눈의 종류 및 기능과 시공시 유의사항 1. 개요 1) 줄눈의 필요성과 목적 (1)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나, 온도 변화, 건조 수축, 하중 작용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2) 이에 따라 줄눈은 구조물의 수축·팽창을 제어하고, 균열을 계획된 위치에 유도하여 포장 성능을 유지하며, 시공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요소로 설치된다.2. 줄눈의 종류 및 기능 1) 가로 줄눈 (Transverse Joint) (1) 포장판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축 줄눈, 팽창 줄눈, 시공 줄눈이 포함된다. (2) 건조 수축, 온도 변화, 하중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며, 포장판의 균열을 제어하고 수명을 연장한다.2) 세로 줄눈 (Longitudinal Joint)(1).. 2025. 6. 19.
건설공사에서 공사기간 지연의 종류 및 원인 1. 서론 1). 공사기간 지연의 의의 및 중요성 (1) 공사기간은 계약의 핵심 조건으로, 계획된 기한 내 준공은 발주자와 시공자 모두에게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 공사기간이 지연될 경우 사업비 증가, 지체상금, 대외 신뢰도 저하, 분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전 관리와 사후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2) 특히 공기 지연의 발생 시, 그 원인이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계약상 책임 소재를 구분하고, 보상 또는 지체상금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므로, 관련 법령과 판례를 기반으로 명확히 구분되어야 한다.2. 공사기간 산정 방법 1) 공사기간은 총 작업일수와 비작업일수를 합산하여 산정한다. (1) 작업일수 : 실제 작업이 가능한 날로, 작업량, 인력, 장비, 공법 등을 고려.. 2025.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