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관2 상하수관 점검주기 노후 하수관의 정기점검 주기는 관련 법령과 지자체 조례, 그리고 관의 상태(연식, 재질, 주변 지반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하수관 점검 주기1. 📋 법적·행정적 기준하수도법」 및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따른 기준:- 기본 원칙: 연 1회 이상 정기점검- 지자체(예: 서울시, 통영시 등)의 하수도 조례는 대부분 "매년 1회 이상" 하수관로 상태 점검을 규정하고 있음.- 특별한 사유가 있을 경우(침하 사고, 집중호우 전후, 민원 발생 시 등)에는 수시점검을 병행함.2. ⚠️ 노후 정도에 따른 기준- 노후 하수관 (설치 후 20년 이상 또는 손상 이력 있는 관로): 6개월~1년 주기로 점검 권장- 신규 또는 양호한 상태의 관로: 1~3년 주기로 점검 가능3. 🏙.. 2025. 4. 24. 노후관 진단 방법 및 갱생공법 🔍 1. 노후 상하수관 진단의 종류 및 방법🧪 1-1. CCTV 내시경 검사- 방법: 카메라가 장착된 로봇을 하수관 내부에 투입해 파손, 균열, 이물질, 침전물 등을 영상으로 확인.- 장점: 관 내부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 가능.- 활용: 정기 진단 및 긴급 사고 대응 시 활용.📏 1-2. 관로 변형 측정 (레이저/스캐닝)- 방법: 레이저 스캐너로 하수관 내벽의 형상을 3D로 측정해 원형에서의 이탈 정도를 진단.- 장점: 침하, 벽면 박리 등 구조적 이상을 정밀 측정.🧲 1-3.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 방법: 지상에서 전자파를 쏘아 반사파를 분석해 지하의 빈 공간이나 침하 가능성 진단.- 한계: 깊은 곳(3m 이상)이나 수분이 많을 경우 탐지력 저하.. 2025. 4.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