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분석2 경제적 타당성분석 : 비용편익분석 1. 정의1.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은 공공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2. 사업 시행으로 인한 편익과 비용을 화폐 가치로 환산하여 비교함으로써 사업의 추진 여부를 판단한다.2. 비용 및 편익의 범위1. 비용 : 투자비, 운영·유지관리비, 환경적·사회적 손실 2. 편익 : 교통 시간 절약, 물류비 절감, 사고 감소, 환경개선3. 주요 분석 지표1. 순현재가치(NPV): 편익의 현재가치에서 비용의 현재가치를 뺀 값으로, 0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2. 편익비용비(B/C): 편익의 현재가치를 비용의 현재가치로 나눈 값으로, 1보다 크면 타당하다.3. 내부수익률(IRR): NPV가 0이 되는 할인율로, 기준 할인율보다 높으면 투자 가치가 있다.4. 활용 및 유의.. 2025. 5. 7. 2025년 표준품셈 다운로드_ 표준품셈이란? ↓ ↓ ↓ 2025 표준시장단가 다운로드 링크https://nogada-nyang.tistory.com/23 표준품셈은 건설공사에서 각 공종별로 작업에 필요한 인력, 장비, 재료 등의 소요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이다. 쉽게 말해, 공사를 수행하는 데 어느 정도의 자원이 필요한지를 정해 놓은 지침서이다.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하며,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개정하여 발표한다. 이 과정은 보통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 연구·조사를 수행하고, 업계 의견 수렴을 거쳐 이루어진다. 표준품셈은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된다: - 공공공사의 예정가격 산정 - 공사비 검토 및 타당성 분석 - 설계변경 시 비용 산정 - 민간공사의 참고자료 실무에서는 건설회사, 설계사무소, 감리단 등 다양한 주체가 이를 .. 2025. 4.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