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크리트6

후텐션 콘크리트 포장 PTCP(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 1. 정의1) 후텐션 콘크리트 포장(PTCP: 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이란, 콘크리트 포장판 내에 강선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이 강선에 인장력을 가하여 포장판에 압축응력을 도입함으로써 균열 방지, 슬래브 간 이격 방지, 그리고 지반 침하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일종이다.2) 일반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슬래브를 길게 연속 시공할 수 있으며, 팽창·수축으로 인한 균열 발생이 억제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2. 구조 및 원리1) PTCP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다: (1) 프리스트레싱용 덕트 및 고강도 강선/강연선 (2) 슬래브 측면의 정착구(Anchorage) (3) 콘크리트 타설 후 강선에 인장력을 .. 2025. 6. 24.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줄눈의 종류 및 기능과 시공시 유의사항 1. 개요 1) 줄눈의 필요성과 목적 (1)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은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나, 온도 변화, 건조 수축, 하중 작용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2) 이에 따라 줄눈은 구조물의 수축·팽창을 제어하고, 균열을 계획된 위치에 유도하여 포장 성능을 유지하며, 시공성과 유지관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요소로 설치된다.2. 줄눈의 종류 및 기능 1) 가로 줄눈 (Transverse Joint) (1) 포장판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축 줄눈, 팽창 줄눈, 시공 줄눈이 포함된다. (2) 건조 수축, 온도 변화, 하중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키며, 포장판의 균열을 제어하고 수명을 연장한다.2) 세로 줄눈 (Longitudinal Joint)(1).. 2025. 6. 19.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방법 1. 정의 및 개요 1) 콘크리트 구조물 설계방법이란, 구조물이 하중에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버틸 수 있도록 부재의 단면을 결정하고, 철근량을 산정하는 계산 기준을 의미한다. 2) 구조물은 하중, 내구성, 사용성, 내진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여러 설계방법이 발전되어 왔다.2.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설계방법 1) 허용응력설계법 (Allowable Stress Design, ASD) -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재료가 가질 수 있는 허용응력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방법이다. - 구조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하중과 재료강도에 각각 안전율을 적용한다. - 장점: 계산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움. - 단점: 실제 하중 변동과 재료 강도 편차를 반영하지 못해 경제성이 .. 2025. 4. 19.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1교시_에코 콘크리트 (Eco Concrete) 1. 정의 에코콘크리트는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개발된 친환경 콘크리트로, 재활용 재료나 산업 부산물을 활용하거나, 탄소배출을 줄인 시멘트 대체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환경성과 구조적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지속가능한 건설재료이다.2. 주요 특징 1) 이산화탄소 저감 - 포틀랜드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플라이애시(FA), 실리카흄(SF) 등의 혼화재를 사용한다.2) 재활용 재료 활용 - 폐콘크리트 골재, 폐유리, 폐플라스틱 등 다양한 산업부산물 및 건설폐기물을 원료로 재활용한다.3) 내구성 및 기능성 향상 - 내염성, 내화학성, 수밀성 등 특정 성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일부 제품은 자정작용이나 미세먼지 저감 기능도 부여.. 2025. 4. 11.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2교시_콘크리트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시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개요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는 구조적 안정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해체 시점은 압축강도 시험 결과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해체 후에도 구조물의 균열 및 변형 여부를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 2. 거푸집 해체 기준 1) 압축강도 시험을 하는 경우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설계 기준 강도 도달 여부를 확인한 후 해체한다. - 일반적으로 다음 기준을 적용한다. - 수직 거푸집(벽, 기둥 측면): 5MPa 이상 - 보 및 슬래브 하부 거푸집: 설계강도의 70~100% 이상 - 캔틸레버 구조물: 설계강도의 100% 이상 - 강도 확인이 명확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불필요한 지연 없이 적정 시점에 해체할.. 2025. 4. 3.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2교시_초고성능콘크리트(UHPC :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기존 콘크리트보다 압축강도, 인성, 내구성이 극대화된 차세대 콘크리트다. 일반적으로 압축강도 150MPa 이상, 인장강도 5MPa 이상을 가지며, 섬유 보강을 통해 균열 저항성이 뛰어나다. 1.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의 정의UHPC는 극한의 기계적 성능과 내구성을 갖춘 특수 콘크리트로, 일반 콘크리트 대비 높은 압축강도와 인성, 낮은 투수성을 특징으로 한다. 1) 주요 특징✅ 고강도: 압축강도 150~250MPa 수준으로 기존 콘크리트(20~50MPa)보다 월등히 강함 ✅ 고인성: 섬유보강(강섬유, 합성섬유)으로 연성과 충격 저항성 향상 ✅ 고내구성: 낮은 공극률로 염해·탄산화·동결융해 저항성 우수 ✅.. 2025.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