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토목시공기술사 135회 4교시_상수도 기존관의 세척공사와 갱생공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by 노가다냥냥이 2025. 4. 17.


1. 정의 및 개요  

1) 상수도 기존관은 장기간 사용 시 관내에 스케일, 침전물, 부식 생성물 등이 축적되어 수질오염, 유량 저하, 수압 불균형을 초래한다.  
2)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 내부를 청소하는 세척공사와, 구조적 강도나 내구성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갱생공사를 시행한다.  
3) 세척공사와 갱생공사는 상수도관 유지관리의 핵심공정으로, 노후화된 관망의 성능을 복구하고 수질 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을 가진다.


2. 기존관 세척공사의 개념 및 목적  

1) 세척공사는 상수도관 내부에 퇴적된 부식물, 슬라임, 스케일 등을 제거하여 관경을 회복하고,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작업이다.  
2) 주요 목적은 물의 탁도 감소, 잔류염소 유지, 수압 및 유량 회복을 통한 급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3. 세척공사의 종류 및 방법  

1) 수세식 세척공사  
- 개방된 수도관 양단에 밸브를 설치해 고속으로 물을 흐르게 하여 침전물과 부유물을 배출한다.  
- 단순하고 경제적이지만 고착된 이물질 제거에는 한계가 있다.

2) 기계적 세척공사  
- 브러시, 피그(Pig) 등을 사용해 관내 벽면을 물리적으로 문지르며 침전물과 부식물질을 제거한다.  
- 경사 구간이나 굴곡부에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3) 화학적 세척공사  
- 화학약품을 투입해 부식물, 슬라임 등을 화학적으로 용해 또는 분리해 배출한다.  
- 세척 후 철저한 세척수 배출과 중화처리가 필요하다.



4. 기존관 갱생공사의 개념 및 목적  

1) 갱생공사는 구조적 결함, 부식, 누수 등으로 기능이 저하된 노후 상수도관을 교체하지 않고, 내부에 보수재를 삽입하거나 코팅하여 내구성과 수밀성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2) 관 교체에 비해 비용 절감과 시공 기간 단축, 도심지 교통 불편 최소화 등의 장점이 있다.

5. 기존관 갱생공사의 주요 공법  

1) 라이닝(내부도장) 공법  
- 관 내부에 특수도료(에폭시, 시멘트 모르타르 등)를 분사하여 내면을 재생하고, 내식성을 향상시킨다.

2) 삽입식 라이너 공법  
- 폴리에틸렌(PE) 등으로 제작된 라이너를 기존 관 내부에 삽입·압착하여 수밀성과 내구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3) CIPP(Cured In Place Pipe) 공법  
-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터 함침 라이너를 기존관 내부에 삽입한 후, 내부에서 열이나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새로운 관을 형성하는 비굴착 갱생공법이다.

6. 시공시 유의사항 및 품질관리  

1) 세척공사의 경우 관내 잔류물 제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재오염 가능성이 높으므로 배출수의 탁도, 색도 등 품질 확인을 철저히 수행해야 한다.  
2) 갱생공사의 경우 시공 전 관 상태를 CCTV 조사로 정확히 파악하고, 관경 편차, 곡률, 관재질을 고려하여 적합한 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3) 시공 후에는 수밀시험, 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완성도를 확인하고, 안정화 기간을 거친 뒤 급수 개시해야 한다.

7. 결론  

1) 상수도 기존관은 시간 경과와 함께 내면에 침전물과 부식이 축적되어 수질 및 유량을 저하시킨다.  
2) 세척공사는 위생적이고 안전한 급수 환경을 회복하는 작업이며, 갱생공사는 관 구조의 내구성과 수밀성을 복구하여 시설 수명을 연장하는 중요한 유지보수 공정이다.  
3) 효과적인 관망 관리를 위해 관 상태 진단, 공법 선정, 품질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상수도 공급 안정성을 확보한다.